
(사진 설명 : 제9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박승찬 의원이 시정질문를 하고 있다. 청주시의회(c))
박승찬 청주시의원(보건환경위원회·비례대표)이 9월 4일 열린 제96회 임시회 본회의 시정질문을 통해, 청주시가 추진해온 ‘꿀잼도시’ 사업 전반에 대해 공직사회 기강 해이와 행정 범죄 수준의 구조적 비리가 있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약 7,4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사업 지연, 생활형 사업 운영 부실, 제안서 평가위원 풀 제도 관련 매수·유착 의혹, 그리고 시장 측근과 업체 간 유착 정황 등을 폭로하며 “이는 단순한 개인 일탈이 아닌, 범죄에 가까운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박 의원은 특히 여름철 시민들이 자주 찾는 물놀이장을 언급하며, “시장은 SNS를 통해 만족도 99.9%를 자랑했지만, 실제 현장은 예약 혼란, 안전요원 불친절, 위생 문제로 시민들의 불만이 컸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요원 수당을 부정하게 수급하고, 근무일지를 조작한 정황이 시민 제보와 자료를 통해 확인됐다”며 증거 사진을 공개하고, “직접 운영하지 않았더라도 시민 세금이 투입된 이상, 최종 책임은 청주시에 있다”고 강조했다.
청주시가 도입한 제안서 평가위원 풀 제도의 운영에도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박 의원은 “시장 측은 무작위 추첨으로 공정성과 객관성을 확보했다고 주장했지만, 실제로는 특정 인물이 반복 위촉되고, 사업자가 평가위원 명단을 사전에 요구하거나, 이메일과 카카오톡으로 사업 정보가 유출된 정황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특히 박 의원은 공무원과 업체 간 주고받은 문자 및 이메일 내용을 공개하며, “공무원이 특정 업체에 ‘임시주차장 확보방안을 포함하라’는 식의 지시를 하거나, ‘제안서 심사위원 명단을 보내 달라’는 요구를 하는 등 사전 교감이 이뤄졌다”고 폭로했다.
박 의원은 이번 의혹에 연루된 인물 중 다수가 시장 선거캠프 출신임을 밝히며, “청주시 행정이 정치적 사익에 휘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공무원이 시장 측근을 챙기기 위해 직접 나서고, 행정 절차는 공정성을 상실했으며, 공직자마저 책임을 방기한 상황”이라며, “이는 단순한 부실 행정이 아닌, 시민 혈세를 사적으로 유용한 권력형 비리”라고 규정했다.
박 의원은 “시장이 몰랐다면 무능, 알면서도 묵인했다면 공범”이라며, “이제라도 ‘꿀잼도시’ 사업 전반의 절차를 중단하고, 시의회가 행정사무조사를 실시해 진실을 시민 앞에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 의원은 마지막으로 “시외버스터미널 매각 추진 등 주요 현안에서도 특정 업체와 사전 교감, 내부 정보 유출 의혹이 해소되지 않았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어떠한 행정절차도 강행되어서는 안 된다”고 경고했다.
끝으로 그는 “청주시민의 혈세가 더는 특혜와 비리의 수단으로 악용되지 않도록, 시의회가 감시자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의 시정질문에 대해 이범석 청주시장은 “공직자가 업체와 그런 대화를 나눈 것은 부적절해 보인다”라고 유감을 표시하며 “친분 관계로 사업을 수주한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청주시는 박 의원이 제기한 행사 대행과 업체 선정 과정의 불공정 등 의혹을 조사하기로 했다.
(청주신문=유성근 기자)